기본 개념 살펴보기
StageText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알아야 할 핵심 개념들을 공연 현장의 실제 상황과 함께 설명드립니다.
🎬 프로젝트 (Project)
프로젝트는 하나의 공연 전체 자막을 담는 파일입니다.
- 공연 하나당 프로젝트 하나를 만듭니다
- 모든 자막, 스타일, 설정이 하나의
.stxt파일로 저장됩니다 - 다른 컴퓨터로 파일을 복사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큐 (Cue)
큐는 현재 화면에 보여줄 자막입니다.
연극에서 조명이나 음향을 바꾸는 신호를 "큐"라고 부르듯이, StageText에서도 자막을 바꾸는 단위는 큐입니다. 파워포인트의 '슬라이드'와 같은 개념입니다.
큐의 예시
📊 트랙 (Track)
트랙은 "어떤 종류의 텍스트인지" 나타냅니다.
대사, 음향효과 등을 각자 원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StageText에서는 자막을 종류별로 나누어 관리합니다.
트랙의 예시
일반적인 트랙 구성
- 대사: 배우들이 말하는 내용
- 효과음: 음향 효과나 배경음악
- 내레이션: 해설이나 상황 설명
📝 셀 (Cell)
셀은 "특정 큐의, 특정 트랙에 들어갈 내용"입니다.
엑셀의 셀처럼, 큐와 트랙이 만나는 한 칸이 셀입니다.
*하나의 셀에는 여러 문장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 문장 (Line)
두 명 이상의 화자가 연속적으로 말하는 순간을 담아야 할 때가 있죠.
문장은 "한 화자가 말하는 한 줄의 대사"입니다.
🎨 서식 (Style)
서식은 "자막이 화면에서 어떻게 보일지" 결정하는 설정입니다.
트랙별 기본 서식
트랙별 기본 서식은 하나의 트랙에 있는 문장들이 공유하는 서식입니다.
문장 서식
문장 서식은 특정 문장이 어떤 스타일로 보일지를 정하는 이름표입니다.
일반적으로 인물, 문장 종류에 지정합니다. ('인물A', '인물B', '음향효과 - 음악' 등...)
문장 서식에서 설정한 값은 트랙 기본 서식을 덮어씁니다.
이제 기본 개념을 이해하셨다면, 10분만에 시작하기에서 함께 시작해보세요!